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주식 투자 PBR (주가대비자기자본비율)이란?

by lia_a 2023. 6. 1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주식 투자를 할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인 'PB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PBR이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갖는 지 함께 살펴보도록 할까요?

 

PBR은 Price-to-Book Ratio(주가 대비 자기자본 비율)의 약자로, 
기업의 주가를 기준으로 자기자본에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은 Price-to-Book Ratio(주가 대비 자기자본 비율)의 약자로, 기업의 주가를 기준으로 자기자본에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PBR의 값은 주가가 기업의 자기자본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줍니다. 주가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구요. 

 



일반적으로 PBR이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되었다고 할 수 있고, PBR이 높을수록 주식이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BR 값이 1이라면, 주가가 기업의 자기자본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기업 A의 PBR이 0.8이라면, 주가가 기업의 자기자본보다 낮게 형성되었다는 의미입니다.

PBR은 주식 투자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한 가지' 지표일 뿐이므로, PBR만으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워요. 그러므로 다른 요소들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기업의 성장 가능성, 산업 동향, 기업의 재무상태, 경쟁력 등을 함께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해요.


저는 PER과 PBR이 항상 헷갈렸는데요, 오늘 설명을 통해 저 뿐만 아니라 주식 투자에 도전하는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728x90
반응형